2020년 6월 23일 화요일

기획자의일

Chapter 0 도대체 내 기획은 왜 까일까? : 상사의 의도는 따로 있다 / 엉뚱한 문제, 엉뚱한 답 / 내 결론에 물음표가 붙는 이유 / 안드로메다로 날아간 논리를 찾아라 / 신선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 현실성 제로 전략을 경계하라 / 바로 움직일 수 있는 계획을 담아라 / 코앞의 일만 수습하다 둑이 터진다 / 상사가 정말 궁금한 내용일까? / 팩트 체크는 필수다 / 상사의 시간을 빼앗지 마라 / 피드백 없는 무플은 위험하다 / 기획 능력을 기르는 10가지 기술
Chapter 1 기획의 시작은 ‘마음 읽기’다 : 반드시 ‘진짜 니즈’를 파악하라 / 내 기획서의 고객은 상사다 / 한글 프로그램부터 열지 마라 / 기획을 시작하는 2가지 방식 / 좋은 질문으로 포문을 열어라 / A4 용지 한 장에 담긴 기획 비결 / 기획의 출발점은 마음을 읽는 것이다
Chapter 2 진짜 문제를 찾는 게 9할이다 : 회의가 가진 진짜 문제는 뭘까? / 문제? 과제? 프로젝트? / 기획의 첫 단추는 문제 정의다 / 진짜 문제를 발견하는 디자인 씽킹의 힘 / 상황에 공감해야 진짜 문제가 보인다 / 제대로 문제를 찾으면 답은 쉽다 / 남은 것은 문제 테스트다
Chapter 3 기획은 결론으로 말한다 : 기획자의 생각을 정리하는 피라미드 구조 / 핵심에 집중하게 만드는 힘 / “왜?”에 답하는 가로ㆍ세로의 법칙 / 한눈에 결론을 보여주는 2가지 방식 / 피라미드 구조로 결론을 찾는 법 / 관심을 강렬하게 끌어당겨라 / 뇌리에 박히려면 무조건 단순해야 한다 / 기획을 한마디로 말하는 콘셉트 / 콘셉트를 잘 뽑는 4단계 방법 / 보고서를 간결하게 만드는 결론의 힘
Chapter 4 생각의 A to Z를 풀어내야 한다 : 똑같은 생각, 빠진 생각 없이 정리하기 / 최고의 답을 찾는 MECE 사고법 / 생각의 완성도를 높이는 프레임 사용법 / 복잡한 생각을 간결하게 전하는 기술 / 문제를 푸는 가장 강력한 도구, 로직 트리 / 생각의 기준을 잡는 로직 트리의 원리 / 가설에 따라 해결법은 완전히 달라진다 / 반드시 생각의 흐름을 점검한다
Chapter 5 지금껏 보지 못한 것을 제안하라 : 다시, 기획의 의미를 생각하다 / 시도했을 때 가치가 바뀌는 기획이 필요하다 / 습관 1. 다른 관점에서 본다 / 습관 2. 뻔하게 보이는 것에서 벗어난다 / 습관 3. 익숙한 것을 낯설게 여긴다 / 습관 4. 거침없이 모방하고 빌려온다 / 습관 5. 무관한 것들을 자유자재로 연결한다 / 보지 못한 것을 보게 하는 관찰의 힘 / 새로운 아이디어는 블루오션에 있다
Chapter 6 아이디어는 실행 속도가 생명이다 : 실행이 약하면 공상에 그친다 / 손에 잡히는 아이디어를 만드는 법 / 본격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계획 세우기
Chapter 7 빅픽처를 그리는 치밀함을 가져라 : 머릿속에 제일 먼저 떠오르는 생각을 경계하라 / 예상되는 문제에 대안은 충분히 있는가 / 나무를 보기 전에 숲을 보라 / 고구마 줄기 같은 해결책이 효과적이다 / 기획자라면 한 발 더 멀리 내다보라
Chapter 8 상사를 알면 백전백승이다 : 데이터를 기획자의 언어로 풀어내라 / 일 잘하는 사람은 기획에 지혜를 담는다 / 상사의 기대를 뛰어넘는 방법 / 상사는 디테일을, 사장은 비전을 원한다Chapter 9 오직 팩트만이 설득할 수 있다 : 싱싱하고 확실한 재료가 필요하다 / 기획에 쓰이는 정보의 3가지 원칙 / 노하우보다 노웨어가 중요하다
Chapter 10 OK되는 기획 뒤에 소통이 있다 : 논리의 힘보다 강한 것은 신뢰다 / 상대가 얻게 되는 메리트를 강조하라 / 마음을 뒤흔드는 것은 감사와 칭찬의 말이다 / 결국, 기획은 소통이다
에필로그 - 기획자의 일에 대한 이야기를 마치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