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상품이 된 경험 _4
1부 인간의 경험(HX)이 상품이 되다
PART 1 나는 우울할 때 방을 정리한다
01 오징어 게임을 섬에서 진행해야 했던 이유 _16
02 가장 맛있는 붕어빵, 가장 맛있었던 붕어빵 _23
03 어머니와 나는 다른 지구에 살고 있다 _28
04 우울해 죽겠는데 방 청소를 하라고? _33
05 술 맛이 좋았던 그 시절 술집 _40
06 시대가 빠르게 변할 때 필요한 역량 _44
07 부장님은 왜 재택근무를 싫어할까? _51
PART 2 스타벅스는 커피를 팔지 않는다
01 커피를 파는 척하는 스타벅스 _62
02 의도적으로 불편함을 주는 백화점 _68
03 인스타그램 공유 이벤트의 무용함 _74
04 지도는 사라질 수 있을까? _81
05 스키장을 왜 돈 내고 가? _88
06 그럼에도 나는 영화관에 간다 _93
07 코로나 이후의 학교는 어떤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가 _99
08 가상현실은 현실경험을 대신할 수 있을까? _105
2부 경험을 디자인하다
PART 3 나의 첫 경험을 팔겠습니다
01 당신의 첫 경험을 사겠습니다 _116
02 눈을 뜨면, 지각이다 _124
03 적당한 지각의 이로움 _130
04 추억은 다르게 적힌다 _135
05 윈도우를 사야 하는 사람, 맥북을 사야 하는 사람 _143
06 몸짓과 꽃의 차이 _150
PART 4 달의 뒷면에는 경험기획자가 산다
01 달의 뒷면에서 하는 기획 _158
02 당신의 소비자는 콜럼버스가 아니다 _165
03 초장을 잘 쓰는 기획자 _172
04 기획자에게 만능간장이란 없다 _179
05 쿨한 이별에 재회는 없다 _187
06 영화는 엔딩크레딧에서 끝나지 않는다 _195
PART 5 디자인된 경험들
01 가랑비처럼 적시는 온라인 콘텐츠 _202
02 존재감을 숨기는 서비스 _207
03 집밥의 맛을 내는 공간 _212
04 폴라로이드로 인화된 이벤트 _217
05 옆집에 사는 브랜드 _222
에필로그 당신이 구매한 것은 책이 아닙니다 _228
당신의경험을사겠습니다
애플 휴대전화 없는 광고 제품아닌 경험을 팔기때문
아침방청소 성취감 자기효능감
공간정리 공간에 있는 자신을 대접하는 것
우울증환자는 방청소않는다
심리학에서의 창의성 분야가 다른 영역의 지식을 활용할수 있는 능력
경험개방성은 역량보다는 성향
같이 일한다 느끼려면 동시에 무언가를 만들어가는 경험이 필요
경험기획 HX Human eXperience
SNS 리워드이벤트 목적이 경품이었으니 휘발되고 브랜드를 기억하지도 않고 좋아해주지도 않는다.
무인체크인 호텔 환대 받는다는 느낌은 어쩌고?
성공정인멘토링은 결국 멘토없이도 성장하게 하는것. 결국 사라지는 것을 목표로 해야한다.
스키장리프트 반복적인동작일뿐이나 순간의 기쁨때문에 가는 것이다
누군가 곁에 있다는 느낌 그래서 예능에서 관객 함성을 넣는 것
넷플릭스는 서비스를 팔고 영화관은 경험을 판다.
성공브랜드 정의아닌 느낌으로 기억된다
좋은관계를맺는것이브랜딩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